면세업계 숨통 트였지만…"중국과 관계 개선 필요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로 닫혔던 하늘길이 다시 열리면서 우리나라 면세업계도 최근 숨통이 트이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올해 1분기에는 영업이익도 흑자로 전환했는데요.<br /><br />다만 세계 1위였던 옛 영광을 되찾으려면 중국과 관계 개선이 필요해보입니다.<br /><br />서형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서울 시내 한 면세점, 중국어와 일본어가 여기저기서 들려옵니다.<br /><br />지난 3년 코로나19로 뚝 끊겼던 외국인 관광객들의 발길이 다시 시작된 겁니다.<br /><br /> "스킨케어 제품, 건강보조식품, 옷 이런 걸 사려고 해요. 면세라서 가격이 저렴하고, 한국 언니들이 예쁘고 세련돼서요. 이 옷들도 다 한국에서 산거예요."<br /><br />실제 올해 1분기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170만명을 넘었습니다, 코로나 이전의 절반 수준을 회복한 겁니다.<br /><br />이중 77만명 정도가 면세점에서 지갑을 열었는데, 그 덕분에 영업이익 456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면 아직 손님은 17%, 영업이익은 25% 수준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업계 부양을 위한 선물 보따리를 내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경쟁국들은 공격적인 면세점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. 또한 글로벌 경기부진, 고물가 상황 등 대내외 여건도 녹록치 않습니다."<br /><br />올해 말까지 코로나 때 쌓인 재고를 통관을 거쳐 국내에서도 팔 수 있도록했고, 국산 면세품의 온라인 해외 판매는 상설화했습니다.<br /><br />내국인 편의도 신경을 씁니다.<br /><br />6월부터는 출국 전 시내 면세점에서 물건을 살 때 여권이 없어도 모바일 인증 방식으로 구매가 가능합니다.<br /><br />다만 업계에선 무엇보다 중요한 게 중국과 관계 개선이라고 입을 모았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정부가 한국으로의 개인 관광만 풀고, 단체 관광은 여전히 빗장을 걸고 있어서, '보복 소비'라는 말이 나올 정도의 중국의 '리오프닝 효과'를 아직 보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최근 중국 관광객은 월 7만 3,000여명, 코로나 이전 월 50만명 수준이었던 걸 생각하면 갈 길이 멉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형석입니다. (codealpha@yna.co.kr)<br /><br />#면세업계 #영업이익 #중국관계개선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