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강산 관광이 중단된 지 벌써 15년이라는 긴 세월이 흘렀습니다. <br /> <br />관련 기업인들은 투자금 전액 보상과 청산 등을 요구하고 있지만, 정부는 난색을 보이고 있어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남북 화해 분위기 속에서 지난 1998년 11월에 시작된 금강산 관광. <br /> <br />하지만 그로부터 10년 뒤인 2008년 7월 우리나라 관광객 박왕자 씨가 북한군이 쏜 총에 맞아 숨지면서 전면 중단됐습니다. <br /> <br />11년이 지난 2019년 10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금강산 남측시설 철거 지시 이후 현재는 우리 시설 대부분이 철거된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정부 약속만 믿고 사업에 뛰어들었던 기업인들은 곧 사업이 재개될 거란 희망 고문을 이제는 끝내달라고 합니다. <br /> <br />정권이 바뀔 때마다 위로금 2, 3천만 원과 서너 차례 대출을 받았지만, 남은 건 부채와 건강 악화뿐. <br /> <br />사실상 관광 재개가 어렵다고 보고 보상 후 사업 청산의 필요성까지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요식 / 금강산투자기업협회 회장 (지난 12일) : 투자금액 100% 지급 요망합니다. 대출 원금과 이자 100% 채무 재조정을 해주십사 합니다. 특별손실법 구제받아 청산하고 대북사업 1세대는 종료해야 한다고 봅니다.] <br /> <br />앞서 정부는 금강산 기업에 증빙되는 피해 산정액의 45%까지 지원했지만, 관련 업체들은 당시 보험제도가 마련돼 있지 않았다며 정부 지원이 미흡하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반면 정부는 기업들의 어려움엔 공감하지만,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선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출금 채무면제, 투자금 전액 보상에 대해선 다른 기업과 형평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권영세 / 통일부 장관 (지난 13일) :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에서 국가의 손해 배상 책임이 생기는 부분이 아니라고 판시한 부분이 있고 다른 기업들과 형평성 부분도 있고 재정 당국의 부담도 있고 해서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정부는 손실보상과 관련해선 국회에서의 논의 사항을 지켜보겠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71506283587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