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핵항모 방한에도 잠잠한 북한…정찰위성 발사 준비에 집중하나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핵 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함이 지난 12일부터 부산에 머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 항공모함의 한반도 전개는 올해 3월 니미츠함의 부산 입항 이후 7개월 만인데요.<br /><br />북한이 예전과 달리 이번에는 무력 도발에 나서지 않고 있어 배경에 관심이 쏠립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한은 지난 3월 말, 미국 핵 추진 항공모함 니미츠함의 부산작전기지 입항을 하루 앞두고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2발을 쐈습니다.<br /><br /> "북한의 탄도미사일은 각각 370여㎞를 비행 후에 동해상에 탄착하였으며…"<br /><br />북한은 지난해 9월 말 미국 핵 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함 방한 때도 부산 입항 이틀 뒤에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며 즉각적으로 반발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번엔 미국 핵항모의 한반도 전개에도 별다른 무력 도발 없이 잠잠한 모습입니다.<br /><br />로널드 레이건함의 부산 도착 다음 날 '조선중앙통신사 논평'을 통해 한미 확장억제 수단에 대한 '신속한 타격'을 운운하며 위협 메시지를 내놓은 것이 전부입니다.<br /><br />과거와 다른 북한의 이례적인 반응을 두고 현재 활발하게 진행 중인 북·러 무기 거래와 연관이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러시아에 약속한 분량의 살상무기를 다 넘겨줄 때까지는 한반도 긴장 수위를 높이지 않고 정세 관리를 하려는 의도일 수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서는 북한이 10월 중 단행하겠다고 예고한 정찰위성 3차 발사 준비에 집중하기 위해 무력 도발을 자제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이스라엘-하마스 전쟁 상황과 미국의 반응 등을 지켜보며 대미 대응 방안을 고민하는 중일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물론, 북한이 미국 핵항모가 한반도를 떠난 직후에 탄도미사일 발사 등 군사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우리 군이 다음 달 말까지 실시하는 대규모 야외 기동훈련 '호국훈련'에 반발해 무력시위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