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 들어 불과 한 달 남짓한 사이에 홍콩H지수 기초 ELS 손실 규모가 5천억 원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불완전판매 사례를 확인한 금융당국이 배상안 가이드라인 마련에 나선 가운데, 일부 시민단체는 금융당국의 감독 부실에 대한 감사를 청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제부 나연수 기자와 함께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 안녕하세요? <br /> <br />지금까지 손실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부터 짚어볼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어느덧 5천억 원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정확한 수치 함께 보시죠. <br /> <br />5대 은행 판매 현황을 보면, 지난 7일까지 만기 도래액이 9천733억 원입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고객이 돌려받은 돈은 4천5백억 원가량에 그쳐, 평균 손실률은 53%가 넘습니다. <br /> <br />홍콩H지수 ELS 전체 판매 잔액이 19조 3천억 원 정도 되고, 이 가운데 80%, 15조 4천억 원이 올해 만기가 도래합니다. <br /> <br />10조 원 이상이 상반기에 몰려 있고요. <br /> <br />H지수가 이런 흐름을 이어간다면 올해 전체 손실액이 7조 원 안팎까지 불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제가 오늘 오후에 확인했을 땐 홍콩 H지수가 5,390선 정도에 있더라고요. <br /> <br />상품이 판매될 2021년 당시 고점이 12,000선이었으니까, 지수는 절반 아래로 미끄러져 있는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난달부터 금융당국이 현장검사를 진행하지 않았습니까? 실제 은행들의 불완전판매 사례가 확인됐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이미 1차 현장 검사에서 일부 문제 될만한 판매 사례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고령층 고객에게 노후 보장용 자금이나 암 보험금에 대해 투자 권유를 하거나, 설명 녹취 의무를 피하려고 휴대전화로 온라인 판매를 한 것처럼 가입하게 한 사례들입니다. <br /> <br />이들 사례를 토대로 금융감독원은 내일부터 주요 판매사 11곳에 대해 2차 현장검사에 나섭니다. <br /> <br />5개 은행, 6개 증권사가 그 대상입니다. <br /> <br />알기 쉽게 상품 설명이 됐는지, 투자자가 과거 고난도 상품에 투자한 경험이 있는지, 가입 채널이 어떻게 되는지 등을 구분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 과정에서 문제점을 찾아 은행권에도 책임을 지우겠다는 건데, 우선 지난주 이복현 금감원장의 말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이복현 / 금융감독원장(지난 5일) : H지수 ELS와 관련해서는 확인된 불완전판매에 대해 엄정 대응하고 합당한 수준의 피해구제를 추진하는 한편, 고위험 상품 판매규제에 대한 면밀한 분석 등을 통해 다시는 후진적인 형태의 불완전판... (중략)<br /><br />YTN 나연수 (ysn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215170310278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