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가 모레부터 수술과 외래 진료를 축소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비대위는 의정 대화도 강력 촉구했는데, 이를 위해 2천 명 증원을 철회하고 박민수 복지부 2차관을 언론 대응에서 빼달라고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현아 기자! <br /> <br />일단 수술과 진료 축소가 걱정인데, 상황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전국 의대 교수 비대위가 더는 버틸 수 없다며 근무시간을 조정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월요일인 4월 1일부터 24시간 연속 근무 뒤에는 다음 날 주간 근무를 쉬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, 중증과 응급환자 진료를 제외한 수술과 외래 진료는 더욱 축소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비대위는 정부를 향해서도 지금이 의료파국을 막을 마지막 순간이라면서 대화 제안의 '진정성'을 보이라고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전공의들은 잘못된 정책이 가져올 미래에 실망해 떠난 것이라면서 의대 2천 명 배정을 철회하고 정부 측 언론대응을 담당해 온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을 빼 달라고 요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정부는 2천 명 증원이 협상 대상이 아니라고 했지만,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지 않겠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의대 증원은 이미 대학별 배정까지 끝난 상황이지만 의료계 집단행동이 더 확장하고 무엇보다 의료 공백에 대한 국민 피해와 피로도가 높아지면서 정부도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권과 사회 각계에서도 2천 명 증원을 번복하지 않아도, 아직은 대학별 사정에 따른 조정을 허용할 수 있는 시간이 있는 만큼 일단 의제를 개방해 대화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오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, 정부로서는 국민 다수가 의료개혁을 바라는 상황에서 2천 명 '조정' 동의가 자칫 의료개혁의 동력을 꺼뜨릴 수 있을까 걱정입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증원 조정은 전공의와 의대생이 직접 요구한 게 아닌 것도 걸리는 상황인데요. <br /> <br />전공의와 의대생은 아예 증원 철회를 요구하고 신임 의협회장은 아예 증원감축과 함께 낙선운동을 언급하는 상황에서 <br /> <br />'조정'을 양보한다고 전공의와 의대생이 현장에 복귀할지 알 수 없어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사회정책부에서 YTN 김현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33011155656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