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의회가 중국계 숏폼앱 틱톡에 대한 강제매각 법안 처리를 강행하자 틱톡 측은 표현의 자유 억압이라며 강력 반발하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상원 통과가 유력한 가운데 첨단 기술을 둘러싼 미·중 간 갈등이 더욱 심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정유신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[마이크 존슨/ 미 연방 하원 의장 : 찬성 360명, 반대 58명입니다. 법안이 이의 없이 통과됐습니다. 수정안이 상정됐습니다.] <br /> <br />지난 20일 미 하원 문턱을 넘은 틱톡 강제매각 법안에는 '21세기 힘을 통한 평화'란 이름이 붙었습니다. <br /> <br />최장 360일 내로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중국계가 아닌 새 주인을 찾지 못하면 틱톡은 미국에서 퇴출되게 됩니다. <br /> <br />미 정치권은 바이트댄스가 중국 정부에 사실상 예속됐다고 주장하면서 틱톡을 압박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틱톡 측은 성명을 통해 "미국인 1억 7천만 명의 표현의 자유를 짓밟는 법안을 다시 강행한 것은 유감"이라고 밝혔습니다." <br /> <br />중국 정부도 미국이 각종 방법을 동원해 합법적으로 등록된 기업을 탄압한다고 반발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틱톡 퇴출에 찬성하는 의원들은 일부 미국 SNS가 중국에선 이미 금지돼있다며, '공정한 게임'이라고 주장합니다. <br /> <br />중국도 국가 안보를 이유로 10여 년 전부터 페이스북과 구글 등 미국 앱을 제재하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미국에서 틱톡 이용이 금지된다면 엑스와 인스타그램과 같은 미국 SNS가 가장 큰 수혜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엑스의 소유주 일론 머스크는 표결 전부터 틱톡의 강제 매각에 공개적으로 반대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"미국 내 틱톡 금지가 X에는 이익이 될지 몰라도 표현의 자유에 위배되고, 미국이 추구하는 가치도 아니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틱톡의 전 세계 이용자 수는 17억 명, 이 가운데 미국 내 활성 사용자 수만 1억 7천만 명에 달해 미 대선에서도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법안의 상원 통과가 유력하지만, 이후 법정 다툼과 함께 미·중간 인터넷 전쟁이 심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정유신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서영미 <br />디자인 : 오재영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정유신 (yusi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422233020593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