하마스의 일인자 이스마일 하니예를 암살한 수단이 7kg 탄두의 단거리 발사체라는 이란의 공식 입장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중동에 전운이 고조되는 가운데, 이란의 반격 디데이가 오는 12~13일 유대인 명절을 노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정유신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하마스 최고지도자 이스마엘 하니예가 암살된 지 사흘 만에 이란혁명수비대가 처음으로 공식 입장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하니예가 머물렀던 숙소 외부에서 7kg 탄두가 장착된 단거리 발사체가 발사됐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이란혁명수비대 성명 발표 : 조사 결과 암살 테러 작전은 숙소 외부에서 강력한 폭발과 함께 7kg의 탄두가 장착된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해 이뤄졌습니다.] <br /> <br />이스라엘이 이번 암살을 설계하고 미국의 지원을 받았다고 비난하면서 "적절한 시간과 장소, 방법으로 가혹한 보복이 있을 것"이라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사전에 숙소에 설치된 폭발물에 숨졌다는 서방 매체들의 인용 보도와 엇갈려 암살의 진상에 대한 의문은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앞서 뉴욕타임스는 하니예 피살 2개월 전에 폭탄이 숙소에 설치됐고 원격 조정으로 폭발한 것이라고 여러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이스라엘이 이란혁명수비대를 포섭해 폭탄을 설치했다는 영국 매체의 보도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스라엘 정보기관, 모사드가 이란 경호부대원 2명을 고용했고, 이들이 폭발물 설치 뒤 이미 이란을 빠져나갔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이란 당국이 고위 정보 책임자와 군 간부 등 20여 명을 체포하고 심문에 나섰다는 보도도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란의 보복 예고로 전면전 위기가 커진 가운데, 이스라엘군은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지구를 추가로 공습해 하마스 지휘관 등 10여 명이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하니예 장례 절차를 마친 만큼 보복은 며칠 내로 이뤄질 수 있고, 헤즈볼라 등 대리세력과 동시다발로 진행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일부에선 현지 시간 12∼13일 유대교 명절인 '티샤 베아브' 기간에 보복을 감행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미국은 해군 순양함과 구축함을 중동과 인근 지중해에 파견하고, 핵 추진 항모와 전투기도 추가 배치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세계 각국은 이스라엘행 항공기 운항을 중단하고,중동 지역 여행 자제 경보도 발령하는 등 비상 상황 대비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정유신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유신 (yusi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80406363306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