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, 추석 연휴 ’비상 응급대응 주간’ 운영 <br />연휴 첫날 문 여는 의료기관 많고, 추석 당일 줄어 <br />추석 연휴, 의료기관 이용 시 환자 본인 부담 늘어 <br />경증·비응급 환자 응급실 이용 시 비용도 증가<br /><br /> <br />추석 연휴 기간 정부는 비상 응급 대응 체계를 가동하고 하루 평균 8천여 곳의 당직 의료기관을 지정해 환자들을 맞습니다. <br /> <br />연휴 기간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평소보다 본인 부담 비용이 늘어나는데, 특히 경증 환자가 응급실을 이용할 때 부담이 커집니다. <br /> <br />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부는 추석 연휴 기간을 비상 응급 대응 주간으로 정해 의료공백 사태에 따른 응급실 명절 대란을 막겠다는 구상입니다. <br /> <br />응급의료 체계를 강화하고 추석 연휴 문 여는 당직 의료기관을 확대하는 게 핵심입니다. <br /> <br />우선 지역응급의료센터 가운데 15곳 정도를 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해 응급환자 대응에 나서고, <br /> <br />경증, 비응급 환자를 위해서는 당직 의료기관 운영을 확대합니다. <br /> <br />[한덕수 / 국무총리 : 설 연휴에는 하루 평균 3,600여 개의 당직 병·의원이 문을 열었지만, 이번 추석 연휴에는 그보다 두 배 이상 많은 하루 평균 약 8,000개의 당직 병·의원이 환자들을 맞기로 했습니다.] <br /> <br />다만 연휴 첫날 문을 여는 의료기관이 2만여 곳 이상으로 가장 많고, 추석 당일에는 크게 줄어듭니다. <br /> <br />연휴 기간 의료기관을 이용할 때 환자 본인 부담은 늘어납니다. <br /> <br />'토요일·야간·공휴일 진료비 가산제도'가 적용되기 때문인데, 의료기관은 진찰료 등에 30~50%를, 약국은 조제료 등에 30%를 더해 환자에게 청구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경증, 비응급 환자가 응급실을 이용할 때도 본인부담금이 90%로 인상됩니다. <br /> <br />권역 응급의료센터 방문 시 그동안 평균적으로 13만 원 정도를 부담했다면 22만 원으로 올라가고, 지역 응급의료센터 비용은 6만 원에서 10만 원 정도로 4만 원가량 더 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경증 환자나 비응급 환자는 응급의료센터보다는 당직 병원 이용이 나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추석 연휴 문을 여는 의료기관의 건강보험 수가를 추가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한시적 보상을 강화하지만, 이에 따른 환자부담은 기존 그대로 유지합니다. <br /> <br />추석 연휴 기간 아프다면 119나 129로 전화하거나 응급의료포털, 응급의료정보제공 앱을 사용해 이용 가능한 의료기관을 확인한 뒤 주요 포털 지도에서 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백종규 (jongkyu8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91404542832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