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토교통부는 참사 당시 상황이 담겼을 비행기록장치와 음성 기록장치를 확보해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명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. 황보혜경 기자! <br /> <br />국토부의 오늘 마지막 브리핑에서 나온 소식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토부는 오늘 오후 7시에 다섯 번째 브리핑을 열고 지금까지 파악된 사고 경위를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최초 착륙 시도부터 충돌까지 9분 동안의 상황은 기존 브리핑 내용과 동일합니다. <br /> <br />사고가 난 여객기는 오전 8시 54분 처음 활주로에 착륙을 시도하다 다시 이륙하는 복행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3분 뒤인 8시 57분 관제탑으로부터 조류 이동 주의 경보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2분 뒤 조종사가 조난신호인 메이데이 요청을 했고요, <br /> <br />그로부터 4분 뒤인 9시 3분쯤 최종 충돌이 일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여객기가 1차 착륙 시도를 하다 왜 복행을 하게 됐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착륙 당시 왜 랜딩기어가 정상적으로 펴지지 않고 동체 착륙을 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는 교신 내용상 조류 충돌 가능성이 커 보이지만 실제로 조류 충돌이 있었는지도 최종 확인은 안 됐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당시 바람 방향과 풍속 등 기상 상황은 운항하기에 문제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사고 당시 무안공항의 조류충돌 예방인력은 모두 4명으로, 이 가운데 한 명은 야외에서 근무 중이었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는 두 종류 블랙박스인 비행기록장치와 음성 기록장치를 모두 확보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이 기록을 조사하면 정확한 경위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가 난 무안공항 활주로는 내년 1월 1일 새벽 5시까지 폐쇄합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는 내일부터 오전 10시와 오후 3시 하루 두 차례씩 정례 브리핑을 열고 새로 확인된 소식을 전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황보혜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황보혜경 (bohk1013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22921513767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