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국 공항 15곳 중 11개 공항 ’만성적자’ 상태 <br />지역 경제 활성화 명목의 정치 논리 작용 <br />무안공항, 적자폭 가장 커…안전 관리 소홀 가능성 <br />지방공항 운영, 지자체가 책임져야 한다는 지적도<br /><br /> <br />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계기로 전국에서 우후죽순으로 추진 중인 지방공항 건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방공항 운영 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 부담률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부가 추가로 건설을 추진 중인 지방공항은 가덕도, 새만금 신공항을 비롯해 8곳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현재 전국에서 운영되는 공항 15곳 가운데 인천, 김포, 김해, 제주를 제외한 11개 공항이 만성적자 상태. <br /> <br />사업성이 떨어지는 지방공항이 무더기인데도 지방공항 건설을 추진하는 건 지역 경제 활성화라는 명목의 정치 논리가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원인 가운데 하나로 무안국제공항의 운영 문제가 지목되고 있는 점을 눈여겨봐야 합니다. <br /> <br />참사가 난 무안공항은 2023년 국내 공항 가운데 가장 큰 적자 폭을 기록했는데 이런 경영난이 안전 관리 소홀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[박상우 / 국토교통부 장관(지난 14일) : 문제는 지역에 있는 공항에 비행기가 적게 뜨니까 투자가 적어져서 안전 시설 부분에 미비한 게 문제인 것이지….] <br /> <br />실제로 무안공항 주변에 철새 도래지는 4곳이나 되지만 조류 퇴치 인력은 불과 4명으로 전국 공항 가운데 최저 수준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정부가 추진 중인 가덕도, 새만금신공항 등도 인근에 철새 도래지를 두고 있어 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[김정재 / 국민의힘 의원(지난 14일) : 신공항 8개나 추진 중인데 새만금, 가덕도, 백령공항, 제주2공항, 흑산공항 모두 철새도래지입니다. 조류 서식지 인근입니다. 이거 어떻게 할 겁니까?] <br /> <br />고속도로 신설이나 KTX 운행 증가 등을 고려해 실제로 지방공항 건설이 필요한 상황인지도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지방공항은 건설부터 운영까지 예산을 전액 국고로 조달하는데, 혈세가 낭비되지 않도록 하려면 지자체가 운영에 책임지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이휘영 /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경영학과 교수 : 공항이 지어진 다음 관리는 철저하게 지자체가 비용을 충당해라, 이런 안으로 가져가면 아무래도 책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13005195438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