마이런 연준 이사 0.5%p 금리 인하 ’빅컷’ 주장 <br />트럼프가 임명한 월러 연준 이사도 금리 인하 주장 <br />뉴욕 연은 총재 "빈부 격차, 경기 하강 초래 위험"<br /><br /> <br />12월 기준 금리를 놓고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 내 분열이 심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제롬 파월 의장은 신중론을 강조한 반면,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스티븐 마이런,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인하를 주장하며 맞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이승윤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참모인 스티븐 마이런 연방준비제도 이사는 12월에 기준 금리를 0.5%포인트 인하하는 '빅컷'을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도 금리 인하에 찬성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경제 상황은 녹록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연준의 핵심인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존 윌리엄스 총재는 빈부 격차가 미국 경기 하강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미국 부유층은 주식 시장 호황의 혜택을 누리는 반면, 많은 저소득층과 중간 소득층 가정이 생활비 위기에 직면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이런 양극화 행태가 다음 달 9일과 10일 올해 마지막 FOMC에서 연준의 금리 인하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생활비 인상의 주범인 트럼프의 관세를 완곡하게 비판한 발언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클리블랜드 연은의 베스 해맥 총재도 인플레이션은 너무 높고 정책이 잘못된 방향으로 움직인다면서 금리 인하에 부정적인 시각을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말 기자회견에서 12월 기준금리 추가 인하는 기정사실이 아니라며 의견의 불일치가 있음을 인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제롬 파월 /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(지난달 29일) : FOMC 논의에서 12월 금리에 대해 의견이 엇갈렸습니다. 12월 금리 추가는 절대로 이미 정해진 결론이 아닙니다.] <br /> <br />금리 인하 압박과 친 트럼프 인사 임명으로 연준을 흔든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5월 금리 인하 지시를 이행할 차기 연준 의장을 임명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경제 전문가들은 통화 정책 방향에 대한 연준 내부의 분열이 이렇게 공개적으로 뚜렷했던 적은 없었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 : 최고은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윤 (yj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51113105904569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