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통일부가 단절된 남북 민간 교류에 대해 유연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라고 덧붙였는데요.<br /><br />취재 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살펴봅니다. 강정규 기자!<br /><br />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대북 정책에도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것 같군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오늘 통일부 정례 브리핑에서 나온 얘긴데요.<br /><br />이덕행 통일부 대변인은 민간교류 등 남북관계 주요 사안들에 대해 유연하게 검토해 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현재 남북관계의 단절은 한반도의 안정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다만, 민간 교류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조건을 달았습니다.<br /><br />통일부의 이 같은 설명은 북한 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 등 그동안 단절되다시피 했던 민간 차원의 교류를 재개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'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본부' 등이 통일부에 낸 대북 접촉 신청은 곧 승인이 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현재 통일부에 들어와 있는 민간단체의 대북접촉 신청은 10건 미만이지만, 문재인 대통령 당선 전후로 신청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우리 정부는 민간에서의 대북 인도적 지원은 남북 간 정치 상황과 무관하게 허용한다는 기본 원칙을 갖고 있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지난 정부는 결핵 약품에 대한 대북 반출과 같은 최소한의 인도적 지원만 승인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핵과 미사일 도발을 계속하고 국제사회가 제제와 압박의 공조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대북 지원은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고수해 온 건데요.<br /><br />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이 같은 입장에 변화가 오고 있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 도발에 대해서는 강력히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해 대북 민간교류와는 분명하게 선을 그었습니다.<br /><br />북한 역시 군사 문제와 민간 교류는 분리하자고 주장해 온 만큼 우리 정부의 이 같은 기조 변화에 화답해 올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.<br /><br />이와 함께 북한이 일방적으로 응답하지 않으면서 차단됐던 남북 간 연락망도 다시 복원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통일외교안보부에서 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52214024529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