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군기지 반환이 속속 이뤄지면서 기지 내 환경 오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부산의 한 미군기지에서는 1급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소량 검출됐는데 반환한 지 4년이 지났지만 정부 부처가 서로 책임을 미루면서 정화 조치가 늦어지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황선욱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부산 시내 한복판에 있는 반환된 미군기지입니다. <br /> <br />미군 부대가 물자 재활용 유통사업소(DRMO)로 쓰다가 2006년 폐쇄한 뒤 2015년 반환한 곳입니다. <br /> <br />아스콘, 폐콘크리트 같은 특수 폐기물이 곳곳에 쌓여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환경부 조사 결과, 기지 내 곳곳에서 소량의 다이옥신이 검출됐습니다. <br /> <br />조사한 48곳 가운데 7곳에서 자체 정화기준 100 피코그램을 초과했고, 최고 537 피코그램이 검출된 곳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서재철 / 녹색연합 전문위원 : 소량이냐 이게 아니라 다이옥신은 출처가 뭐냐 고엽제인지 PCB(독성화학물질)인지 모른다는 얘기죠 이 지점이 중요하다고 보고...] <br /> <br />오염된 토양의 정화 책임을 맡은 한국농어촌공사는 다이옥신이 검출되긴 했지만 지하수 오염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이상화 / 한국농어촌공사 차장 : 다이옥신은 1m, 중금속은 1.5m 이내에 다 분포하고 있어서 지하수는 다 밑에 있는 거죠. 지하수를 통해서 주변에 확산할 영향을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되고요.] <br /> <br />다이옥신 외에 일부 지역에서는 중금속과 유해 기름 성분인 석유계총탄화수소, TPH도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농어촌공사는 다음 달부터 정화 조치에 착수해 2030년까지 오염물질 정화를 완료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정화조치가 늦어진 것은 국방부와 국토교통부가 80억 원의 정화비용을 놓고 서로 관할 다툼을 벌였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다이옥신이 공기 중에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정화 조치 중 가림막을 치겠다고 하지만 부근 주민들은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황선욱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61215193394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