결과 통보에 이틀·병원선 "대상 아냐"…극심한 혼선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 확진과 함께 검사도 급증해 PCR 검사 후 확진 여부 통보에 걸리는 시간도 길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고위험군의 처방도 늦어질 우려가 커졌는데요.<br /><br />확진이 통보되면 동네 병·의원에서 상담, 처방을 받을 수 있는데 정작 병원이 이를 몰라 진료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김민혜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확진자가 폭증하면서 유전자증폭 검사, PCR 검사량도 같이 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방역당국이 PCR 검사 역량을 하루 75만건에서 85만건으로 늘렸지만 한계치에 육박한 날이 나오고 있고,<br /><br />검체 채취부터 확진 통보까지 24시간이 넘는 경우가 속출하다 보니 검사소마다 미리 안내를 해주는 곳들도 있습니다.<br /><br /> "한 2일에서 3일 정도 걸릴 겁니다. 말씀을 드려요. 사실 3일까지는 안 걸리는데 저희가 (과부하로) 24시간에 맞춰서 이전처럼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는 걸 좀 이해를 해주셔야…"<br /><br />팍스로비드 같은 고위험군 대상 처방약은 증상 발현 5일 내에 복용해야 하는데 확진 통보가 늦어지면 효과도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재택치료 체계의 잡음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방역당국은 확진 통보 직후부터 진료가 필요하면 언제든지 전화상담이 가능한 동네 병·의원에서 상담이나 처방도 받을 수 있도록 했지만,<br /><br />60세 이상 등이 아닌 일반관리군만 가능해 상담 자체가 안된다며 치료체계를 이해하지 못한 병원들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 "정부에서 60세 이상은 다 재택치료 전담반에 가도록(연락하도록) 나눴어요. (그럼 아예 진료나 상담 자체도 안되나요?) 네."<br /><br />오미크론의 거센 확산에 곳곳에서 검사,진료의 차질과 지연이 빚어지면서, 정부가 코로나의 풍토병화를 언급하기 전에 현장에 문제는 없는지 점검하는 게 우선이란 지적들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#PCR #24시간 이상 #재택치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