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10월 중순 대규모 서비스 먹통 사태를 빚었던 카카오가 복구가 늦어진 원인과 재발 방지 대책을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카카오는 자신들의 이중화 조치가 미흡했던 점을 인정하고 앞으로 서비스 안정화에 투자를 세 배 이상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윤해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0월 대규모 서비스 먹통 사태에 대해 카카오가 뼈 아픈 자기반성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[남궁훈 / 카카오 비상대책위원회 재발방지대책 공동 소위원장 : 우리의 이중화도 바로 완성되지 않은 다리와 같았습니다. 우리의 부족한 이중화는 이중화의 역할을 다하지 못했고 결국 장애를 막지 못했습니다.] <br /> <br />당시 SKC&C가 운영하는 카카오 데이터센터 배터리 실에서 불이 났고, 화재 진압 과정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서 카카오톡과 같은 주요 서비스가 한순간에 멈춰 섰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데이터센터를 사용한 네이버는 수 시간 만에 복구가 완료됐지만, 카카오는 며칠이나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[이종호 /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(지난 6일) : 여러 서비스 구동에 필요한 카카오 인증과 같은 핵심 기능도 판교 센터에 집중돼 여러 서비스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 원인이 됐습니다.] <br /> <br />카카오는 이중화 조치 미흡은 물론 카카오톡을 대체할 내부 소통 수단이 없었고, 재해 초기 컨트롤타워가 없어 장애 복구가 늦어졌다고 자체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재발 방지를 위해선 오는 2024년 완공 예정인 안산 데이터센터에 전력과 냉방, 통신 분야 이중화 조치를 하고, 발화 지점이었던 배터리실과 무정전 전원장치를 방화 격벽으로 분리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서비스 안정화 구축을 위한 투자도 대폭 확대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고우찬 / 카카오 비상대책위원회 재발방지대책 공동 소위원장 : 지금 말씀드린 개선 사항들을 추가하기 위해 향후 5년간은 지난 5년간 투자 금액의 3배 이상 규모로 투자를 확대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카카오와 같은 플랫폼 사업자도 재난 안전 관리 책임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[이성엽 /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: 지금은 카카오가 부가통신사업자여서 정부의 점검이나 평가 대상에서 빠져 있거든요. 제삼자가 감시하고 지켜보는 게 더 안정적이고 유리하거든요. 그런 면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카카오 등 부가통신사업자도 데이터센터 이중화 조치를 마련하고 정부 재난관리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해리 (yunhr092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120716433293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