직접 '사과' 안 한 기시다…강경 보수 반발 의식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사과 표현은 끝내 없었습니다.<br /><br />일본 보수 세력의 반발을 다분히 의식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정호윤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공동 기자회견에 나선 기시다 총리는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을 계승할거란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 "일본 정부는 1998년 10월 발표된 한일 공동선언(김대중-오부치 선언)을 포함해 역사 인식에 관한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로서 계승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."<br /><br />일본 측의 호응이 부족하다는 우리 취재진의 질문에 여러 성과를 냈다면서도 역사인식에 관한 언급은 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지난 6일 우리 정부가 강제징용 문제의 해법을 발표한 직후에도, 이번에도 '사과'라는 직접적 표현은 없었습니다.<br /><br />설상가상 일본 외무상은 최근 강제징용을 부인하는 발언을 해 일본 정부의 진정성에 의구심마저 불러일으켰습니다.<br /><br /> "어떤 것도 조약상의 강제노동에는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, 이것들을 강제노동이라고 표현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기시다 총리의 이런 입장을 두고 일본 내 정치적 분위기를 배경으로 꼽는 분석이 많습니다.<br /><br />자민당 내 기반이 탄탄하지 않은 기시다 총리가 최대 계파인 아베파 등 강경세력의 반발을 의식해 '사과' 나 '사죄'를 입에 올리지 않는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지난 2015년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전후 70년 담화에서 자식, 손자가 "사죄를 계속할 숙명을 짊어지게 해서는 안 된다"고 말한 게 일본 정치권의 기본 기류라고 한 전문가는 말합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외무상으로 기시다 총리가 이끌어냈던 한일 위안부 합의가 한국의 정권교체 이후 휴지조각이 된 점도 신중함을 견지하는 요인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기시다 총리는 윤석열 대통령과 신뢰관계를 구축하고 싶으며 그런 노력을 해나가면서 결과를 하나씩 낼 수 있었으면 한다면서도 강제징용에 대한 직접적인 '사과'는 이번에도 미뤄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.<br /><br />#강제징용 #기시다 #하야시 #사과 #역사인식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