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, '곡물협정 대안' 제시…튀르키예 또 중재 성과내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러시아가 흑해곡물협정의 대안이라며 자국 곡물을 가공해 수출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곡물협정을 중재했던 튀르키예는 외무장관과 대통령이 잇달아 러시아를 방문해 이 문제를 논의할 예정인데요.<br /><br />다음 달 G20 정상회의와 유엔 총회를 앞두고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한미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모스크바를 찾는 하칸 피단 튀르키예 외무장관과 이틀간 회담하면서 흑해곡물협정을 의제로 다룰 예정이라고 러시아 외무부가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 자리에서 러시아는 카타르가 러시아 곡물 100만톤을 튀르키예에 공급하고 튀르키예가 이를 가공해 각국에 공급하는 방식의 대안을 제시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이는 푸틴 대통령의 계획으로, "흑해곡물협정에 대한 최선의 대안"이라고 러시아 외무부는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흑해곡물협정은 세계 식량난 위기 해소를 위해 전쟁 중에도 우크라이나가 흑해 항구들을 통해 곡물을 수출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내용으로, 지난해 7월 유엔과 튀르키예의 중재로 성사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러시아는 서방의 제재로 자국의 곡물과 비료 수출은 여전히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지난달 일방적으로 협정을 파기했습니다.<br /><br />외무장관에 이어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도 조만간 러시아 소치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 곡물협정 등 우크라이나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에르도안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에 대한 푸틴 대통령의 의중을 확인해 다음달 열리는 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현지 언론은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위협 속에서도 흑해에서 민간 선박을 위한 임시 인도주의 항로를 개설하는 한편, 다뉴브강을 대체 수출 항로로 이용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다뉴브강을 통한 곡물 수출을 늘리기 위해 수주 내에 접경국인 루마니아, 몰도바 당국자들과 만나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한미희입니다.<br /><br />#흑해곡물협정 #러시아 #우크라이나 #튀르키예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