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엔 "북, 외화벌이 절반은 해킹으로…핵개발 재원의 40% 조달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전체 외화벌이의 절반가량을 해킹 등 사이버 공격으로 충당하고 있다고 유엔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이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핵과 미사일 등 주요 무기 개발 자금의 40퍼센트를 이 같은 사이버 범죄로 조달한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이치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전문가 패널은 북한이 작년에만 최소 17건에 달하는 가상화폐 탈취를 통해 총 7억 5천만 달러, 우리 돈 약 1조원을 벌어들인 것으로 보고 조사 중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패널이 공개한 연례 보고서에는 북한이 해킹 등 악의적 사이버 활동으로 전체 외화벌이의 50퍼센트 정도를 충당한다는 유엔 회원국의 판단이 담겼습니다.<br /><br />다른 회원국은 김정은 정권의 핵과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 (WMD) 개발 재원 중 40퍼센트가 사이버 공격으로 조달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 "(북한은) 우크라이나에 쓸 탄도 미사일 등 무기를 러시아로 이전하고, 전 세계 국가를 상대로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도 지속하며…."<br /><br />보고서엔 북한이 식당 종업원이나 건설, IT 분야 노동자 10만여 명을 해외에 파견해 적지 않은 외화 수입을 거두고 있다는 분석도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북한과 러시아 간 지속적인 무기 거래 정황을 보여주는 여러 사례도 소개했지만,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이를 부인하고 있어 제재 위반 여부에 대한 결론은 내리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유엔 대북제재 전문가 패널은 2009년 북한의 2차 핵실험에 대한 안보리 결의에 따라 설치됐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제재 위반 사례를 모아 공식 평가하고, 이행을 점검하는 등 나름 공신력 있는 조직으로서 역할을 해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최근 러시아와 중국의 비협조적인 태도 탓에 활동에 제약을 받고 있고, 앞으로 임무가 연장될지도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치동입니다. (lcd@yna.co.kr)<br /><br />#북한 #안보리제재 #해킹 #사이버공격 #러시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