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크라이나 외무 장관이 러시아의 침공 개시 이후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당선되면 전쟁을 곧바로 끝내겠다는 '트럼프 변수'에 평화 중재에 탄력이 붙는 모양새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을 맞이합니다. <br /> <br />쿨레바 장관이 중국을 찾은 건,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 이후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회담 장소는 수도 베이징이 아닌 남쪽 끝 광저우, 중국의 러시아 눈치 보기와 우크라이나의 절박함이 엿보입니다. <br /> <br />[마오닝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: 최근 러시아-우크라이나 양측은 서로 정도는 협상을 원한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. 비록 여건이 아직 성숙하지 않았지만 우리는 평화에 도움이 되는 모든 노력을 지지합니다.] <br /> <br />쿨레바의 임무는 오는 11월 열리는 제2차 평화정상회의에 중국의 참여를 설득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지난 6월 스위스에서 열린 1차 회의 때 러시아가 초대받지 않았단 이유로 불참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의 완전 철군과 점령지 수복을 노리며 버텼던 우크라이나는 최근 입장을 바꿨습니다. <br /> <br />젤렌스키 대통령이 종전 협상에 나설 의향을 밝히며 러시아에 대표단 파견을 제안한 겁니다. <br /> <br />최대 변수는 미국 대선 유세 중 피격 미수 사건으로 떠오른 '트럼프 대세론'입니다. <br /> <br />당선되면 전쟁을 곧바로 끝내겠다는 트럼프의 발언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 중단과 러시아의 승리로 귀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전 미국 대통령 (6월 27일 대선 토론회) : 내년 1월 20일 취임하기 전에 대통령 당선인으로서 푸틴과 젤렌스키 사이에서 전쟁을 해결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앞서 중국은 팔레스타인 14개 정파를 초청해 '임시 화해 정부' 수립을 중재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도 미국으로 날아가 바이든과 트럼프를 잇따라 만납니다. <br /> <br />'트럼프 변수'에 교착 상태에 빠졌던 평화 중재 논의가 꿈틀대면서 중국도 몸값을 높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72502192797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