트럼프 군중동원 실패 '격분'…K팝 팬 때문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주말 석달만에 개최한 선거 유세에서 군중 동원에 실패하자 격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캠프측은 시위대가 지지자들의 입장을 막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는데요.<br /><br />뉴욕 타임스는 'K팝'에 열광하는 10대들의 시위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 연결해 자세히 들어봅니다.<br /><br />윤석이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워싱턴 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주말 유세에 큰 기대를 걸었었는데, 청중 동원에는 일단 실패했다. 이런 평가가 나오는군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이곳 현지시간으로 토요일인 지난 20일 오클라호마주 털사에서 지난 3월 이후 석 달 만에 대규모 군중 동원 유세를 재개했는데요.<br /><br />1만9천석 규모의 행사장 가운데 3분의 2밖에 채워지지 않으면서 흥행에 실패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앞서 트럼프 캠프측은 코로나19 확산 우려에도 불구하고 100만명 이상이 유세 참가 신청을 했다고 분위기를 띄운 터라 더욱 머쓱해진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포스트는 "트럼프 캠프 측의 기대와 비교하면 유세 규모는 굴욕"이라고 꼬집었는데요.<br /><br />"유세장의 관중이 적었던 것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격분했다"는 보도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이번 유세가 흥행에 실패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가도에도 적지 않은 내상이 불가피하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그런데 청중동원 실패가 10대 청소년과 특히 'K-팝' 팬심 때문이다. 이런 분석도 나온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뉴욕타임스의 보도인데요.<br /><br />행사장에 군중 입장이 적었던 배경에는 미국 10대 청소년들과 K팝 팬들의 '노 쇼' 시위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청소년들과 K팝 팬들이 수십만장에 달하는 표를 예약하고는 현장에 나타나지 않았다는 건데요.<br /><br />미국 민주당 오카시오 코르테스 하원의원은 "트럼프 캠프는 급진적인 시위대가 방해했다고 했지만 사실은 틱톡을 쓰는 10대들에게 한 방 맞은 것"이라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이른바 '노 쇼' 시위가 K팝과는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, 소셜미디어 공간에서 의견을 집단적으로 공유하고 행동하는 10대 K팝 팬들의 문화 현상이 정치 분야로 확산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실제 K팝 팬들은 지난 8일 트럼프 대통령 생일을 맞아 트럼프 캠프측이 생일축하 메시지를 요청했을 때 가수들의 공연 영상을 편집해 대량으로 보내는 등 세를 과시했습니다.<br /><br />흑인 '조지 플로이드' 사망으로 촉발한 시위 때도 '흑인 목숨도 소중하다'는 캠페인에 집단적으로 참여하면서 '백인 목숨도 소중하다'라는 해시태그가 온라인에서 묻히는 데 한몫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존 볼턴 전 백악관 안보보좌관의 '회고록' 소식도 짚어봤으면 하는데요.<br /><br />미국의 대북 정책과 관련한 폭로가 계속 나오고 있군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6월 말 트럼프 대통령의 '깜짝 트윗'으로 시작된 판문점 회동 당시 미국과 북한 모두 북미 양자 회담을 원했지만, 문재인 대통령이 '동행'을 고수해 관철했다고 볼턴 전 보좌관이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문 대통령은 당시 김정은 국무위원장에 한국 땅에 들어섰을 때 자신이 그곳에 없다면 적절하게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고, 북측에 문 대통령의 견해를 제안했지만, 북한이 거절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도 "북한의 입장을 존중해야한다"는 뜻을 재차 전달했지만, 문 대통령은 DMZ 내 오울렛초소까지 동행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고, 결국 관철했다고 적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군사 분계선을 넘었다 되돌아오자 판문점 남측 자유의 집에 있던 문 대통령은 북미 정상 곁으로 걸어와 김 위원장과 악수하면서 남북미 세 정상이 한 자리에 모인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볼턴 전 보좌관은 아울러 판문점 회동에 앞서 지난해 4월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 당시 문 대통령이 판문점 또는 선상에서 북미 정상회담을 제안했다고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"문 대통령의 말을 끊으며 다음 정상회담에서는 실질적인 합의를 이루길 바란다"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볼턴 전 보좌관은 "아무도 두 번이나 합의가 결렬되길 원하지 않았다"며 "그러나 문 대통령의 최대 관심사는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만남에 합류하는 것이었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