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만·기술 갈등 격화 전망…일부 협력 모색 가능성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연임 확정으로, 대만 문제 또 첨단 기술을 둘러싼 미중 간 갈등은 격화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입니다.<br /><br />다만 중국의 정치 상황이 안정된 만큼 정상회담을 비롯한 대화 재개 노력도 뒤따를 것이란 관측인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 바이든 정부는 최근 국가안보전략을 통해 중국을 유일한 경쟁자로 재차 지목하고 전방위에서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의도를 거듭 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지난 주 당 대회 업무보고에서 투쟁이란 단어를 17차례나 사용하며 대응 의지를 분명히 했습니다.<br /><br />시진핑 3기, 미중 패권 경쟁이 한층 더 격화할 것임을 시사하는 대목입니다.<br /><br />특히 최대 현안인 대만 문제에 있어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시 주석이 대만과의 통일을 위해 무력 사용도 불사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미국도 중국이 2027년 이전에 대만을 침공할 수 있다고 보고 대응 의지를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 "중국은 이전보다 빠른 시간표를 갖고 통일을 추구하기로 결심했습니다. 만약 평화적 수단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면 강압적인 수단을 사용할 것입니다. 그런 변화가 생긴다면 그것은 불행히도 앞으로 매우 도전적인 상황을 전망하게 만듭니다."<br /><br />무력 통일을 시도할 경우 미국의 정책 변화도 있을 것이란 점을 경고한 것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미중간 기술 경쟁도 한층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최근 중국에 대한 첨단 반도체 기술 수출통제 방침을 밝힌 미국은 경제 정책을 안보 차원에서 통제할 뜻을 분명히 하고 있고 중국 역시 이른바 '과학기술 자강론'으로 맞불을 놨습니다.<br /><br />다만 큰 틀에선 양국의 패권 경쟁이 지속되겠지만 일단 중국의 권력구도가 안정된 만큼 양국이 소통 재개을 모색할 수 있단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내달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서 별도 양자 회담을 추진하는 등 표면적으로는 대화 모드로 이동할 것이란 관측입니다.<br /><br />특히 중국의 당대회가 끝나면서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이는 북한 추가 핵실험이 대화의 시작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중국의 반응에 따라 향후 미중간 협력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#시진핑 #3연임 #패권경쟁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