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 "中우한연구소 포함 코로나 기원 기밀정보 최대한 공개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'코로나19 기원법'에 신속 서명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우한 연구소에서 바이러스가 최초로 유출됐을 가능성을 거론하며, 관련된 정보를 모두 공개하라는 건데요.<br /><br />다분히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현지시간 20일, 이른바 '코로나19 기원법'에 서명한 바이든 미국 대통령.<br /><br />앞으로 90일 이내에 중국 우한 연구소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잠재적 연결성에 관한 모든 정보의 공개 제한이 사라집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"코로나19가 어디서 시작됐는지 알아내기 위해 가용한 수단을 모두 사용할 것을 정보기관에 지시했으며, 이 작업은 진행 중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또 정부는 가능한 한 많은 기밀을 해제하고 공유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미래의 팬데믹을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진상 규명은 필요하다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관련 보고서를 미국인들에게 공개하려 합니다. 1급 비밀의 모든 걸 아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대통령이 이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"<br /><br />앞서 미 상원에 이어 하원은 지난 10일, 이 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습니다.<br /><br />법안은 지난달 말 미 에너지부가 우한 연구소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출됐다는 가설을 미는 쪽으로 돌아서면서 탄력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미 연방수사국, FBI에 이어 에너지부도 '연구소 유출설'에 힘을 싣자 그 근거가 되는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졌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미국 내 정보기관을 총괄하는 국가정보국이, 연초 의회에 관련 자료를 냈지만, 상세 내용이 누락된 것 역시 이런 분위기 조성에 한몫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중앙정보국, CIA 등은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했고, 일부 연방 정보기관은 여전히 자연발생설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이유로 백악관은 그동안 이 문제에 대해 비교적 신중한 입장을 보여왔던 것도 사실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법인이 초당적 지지를 받은 데다 중러 관계가 갈수록 밀착하자 결단을 내린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"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러시아를 국빈 방문하는 등 두 나라 사이가 긴밀해지자 이를 견제하기 위해 사실상 중국을 정조준한 법을 통과시킨 것"이라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지선입니다. (sunny10@yna.co.kr)<br /><br />#중국 #코로나19 #기원설 #우한연구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